부동산 파보기

대출 상환 방식의 종류_균등분할상환, 체증식, 체감식 본문

부동산

대출 상환 방식의 종류_균등분할상환, 체증식, 체감식

사마로 2023. 5. 3. 22:09

  대출금 상환 방식의 대표적인 종류 3가지인 원리금 균등분할상환방식, 체증식 상환방식, 체감식 상환방식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10년 이상의 상환기간을 두는 담보대출들, 특히 20년 이상 장기 주택담보대출(일명 모기지 론)의 경우 대출금 상환방식에 따라 부담해야 하는 이자금액, 월 상환액의 차이가 큽니다. 아래 3가지 상환방식을 보시고 유리한 상환방식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1.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원리금 균등분할방식은 대출 원금과 이자를 합한 총액을 상환 기간 동안 균일하게 분할하여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대출 기간 동안 매월 일정한 금액을 상환하므로, 상환금액을 예측하기 쉽고, 상환기간 동안 원금과 이자를 골고루 상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5년 동안 5%의 이자율로 대출받았을 경우, 매월 1,887,123원을 원리금 균등분할방식으로 5년간 동일하게 상환합니다.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방식 상환스케쥴_1억원, 5년, 5%]

초기에는 원금:이자 비율 중 이자비율이 높은 편이나, 대출 상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점차 원금비율이 높아지는 형식입니다.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방식이 5년간 납부하는 총 이자액은 13,227,402원으로, 3가지 상환방식 중 두번째로 많은 이자액을 납부합니다. 

장점:

  1. 예측 가능한 상환금액: 원리금 균등분할방식은 매월 일정한 금액을 상환하기 때문에 상환금액을 예측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예산을 세우기 쉽고, 지출 계획을 세우기 용이합니다.
  2. 총 이자액 감소 : 원리금 균등분할방식은 대출기간 동안 원금과 이자를 골고루 상환하기 때문에 총 이자액 또한 감소합니다. 아래에서 설명드릴 예정인 체감식 상환방식 대비 초기 원금 상환액이 적기는 하나, 일정한 지출의 특장점에 이자 부담도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점이 메리트이긴 합니다.

단점:

  1. 대출원금 상환속도가 느립니다. 이 현상은 대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커지는데, 특히 20년 이상의 장기 주택담보대출은 초창기 월 상환액에서 원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1/3도 채 되지 않고, 대출 상환기간의 절반을 지났어도 월 상환액에서 대출 원금 비율이 1/2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중도상환 수수료: 위의 대출원금 상환속도가 느린 특성때문에 중도에 다른 대출로 대환(차환)할 경우 잔여 대출원금이 크므로, 기존 대출의 중도상환 수수료 조건이 있었다면 수수료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대출 대환에 대한 설명은 아래 글에서 따로 설명해두었습니다.
 


 

 

2. 체증식 상환방식

 

체증식 상환방식은 대출 상환금액을 대출 기간 동안 점차 증가시켜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상환기간 동안 대출금의 원리금을 분할하여 일정한 상환금액을 갚는 원리금 균등분할방식과는 달리, 대출금의 원리금 중 원금 상환 비율을 높여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대출금의 원금 상환 비율이 점차 높아지기 때문에, 대출금의 원리금 총액이 동일한 상환기간을 가진 원리금 균등분할방식보다 작아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5년 동안 5%의 이자율로 대출받았을 경우, 체증식 상환방식으로 상환하면 매월 상환금액은 416,667원부터 시작하여 대출금의 원금 상환 비율이 점차 높아지며, 5년 후(60개월차) 상환금액은 3,487,279원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상환하게 됩니다.

[체증식 상환방식 상환스케쥴_1억원, 5년, 5%]

체증식 상환방식이 5년간 납부하는 총 이자액은 17,117,458원으로, 3가지 상환방식 중 가장 많은 이자액을 납부합니다. 이는 체증식 상환방식 초기에 원금을 아주 적은 금액으로 상환하거나 아예 상환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대출상환방식 대비 이자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장점:

  1. 대출 초기에 부담해야 할 상환금액이 적습니다. 따라서 초기에는 대출상환여력이 부족하나, 1년 뒤에는 상환여력이 생길 예정일 경우 선택하면 좋은 방법입니다.
  2. 대출상품의 금리가 고정금리가 아닌 '변동금리'이고, 조만간 시장 금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농후하다면 일단 체증식 상환방식을 선택한 뒤, 중도에 다른 대출로 대환하는 방법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대출상품의 중도상환수수료 조건이 높을 경우엔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단점:

  1. 예산 편성이 어려울 수 있음: 체증식 상환방식은 매월 상환금액이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예산 편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대출 원금 상환속도가 매우 느리고, 이자 부담액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선호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3. 체감식 상환방식

 

체감식 상환방식은 체증식과는 반대로, 대출 상환액이 점차 감소하도록 설계된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상환기간 동안 대출금의 원금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상환하며, 잔여 대출원금이 감소함에 따라 이자 역시 감소하여 원금+이자 합계가 점차 감소하는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5년 동안 5%의 이자율로 대출받았을 경우, 체감식 상환방식으로 상환하면 첫번째 상환금액은 2,083,333원으로 시작하나, 상환금액이 점차 줄어 5년 후(60개월차) 상환금액은 1,673,611원을 상환합니다.

[체감식 상환방식 상환스케쥴_1억원, 5년, 5%]


체감식 상환방식이 5년간 납부하는 총 이자액은 12,708,333원으로, 3가지 상환방식 중 가장 적은 이자액을 납부합니다.

장점:

  1. 3가지 상품 중 대출원금 상환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주택담보대출액의 경우 연말정산시 당해년도 주택담보대출 원금 상환액에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어 유리합니다.
  2. 장기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경제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젊은 시절에 높은 월상환액을 부담하고, 경제활동이 대폭 감소한 노년시기에 매우 적은 금액을 상환하게 되므로 라이프싸이클에 가장 적합합니다.

단점:

  1. 초기 월 상환금액이 다른 상환방식보다 크므로, 영끌대출 등 무리한 대출의 경우 적합하지 않습니다.
  2. 대출상품이 고정금리이고, 금리가 매우 높은 시기라면 배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 대출 상환 방식의 종류_균등분할상환방식, 체증식 상환방식, 체감식 상환방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본인의 대출받고자 하는 목적물 용도, 대출기간, 대환계획, 현재 시장 금리수준, 변동금리인가 고정금리인가에 따라 적합한 대출상품을 선택하여 유리한 자금계획 세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