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파보기

이자지옥 탈출법_주택 담보대출 대환(차환)이란 무엇인가? 본문

부동산

이자지옥 탈출법_주택 담보대출 대환(차환)이란 무엇인가?

사마로 2023. 5. 3. 22:11
이자지옥 탈출법_주택담보대출 대환(차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대출 대환이란 다른 대출을 새로 받아 기존 대출을 갚는 것을 말합니다. 대환은 다른 말로 차환이라고도 합니다. 주택담보대출 대환을 쉽게 설명하면, 담보인 주택을 몸으로, 대출을 의상으로 생각했을때 몸은 그대로인데 기존 옷을 벗고 새 옷을 입는것입니다. 
 
대출 대환은 주택담보대출 뿐만 아니라 다른 대출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고금리 신용대출금을 저리의 주택담보대출 또는 예금담보대출을 받아 상환하여 아예 대출상품을 바꾸는 방법도 있습니다. 고금리 시대에 이자를 아끼기 위해 기존 대출을 그대로 유지하기 보다는 금리가 저렴한 다른 대출로 대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환 대출은 어떤 경우에 활용하는가?

1. 금리 인하 : 월 상환액 부담 감소시키기

가장 유명한 대환 대출상품은 '안심전환대출'입니다. 기존의 주택담보대출이 고금리였거나 대출 상환기간이 짧을 경우 단기간 대출받은 사람의 상환금액 부담이 상당해집니다. 또는 민간은행에서 받은 주택담보대출의 담보물 가치가 시장 흐름에 따라 하락할 경우 은행에서 채권 보존을 위해 대출 자체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안심전환대출을 새로 받아서 기존 대출을 대환하여 주거안정성 및 상환금액 감소 효과를 확보할 수 있겠습니다.
 

2. 추가대출

대환 대출은 단순히 금리 저감을 위해서만 활용하지 않습니다. 담보대출 받았던 부동산자산의 가치가 상승했을 경우(이를테면 시장 호황기 이거나, 대중교통이 신설되어 가격이 상승) 대출액을 추가로 받기 위해 활용하기도 합니다.
 
대환대출액=기존대출 상환액+추가대출액
 
 

3. 대출상품 변경 : 금리인하 + 추가대출

갑자기 목돈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고금리의 신용대출보다 금리도 저렴하고 상환기간이 길어 월 상환액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담보대출이 유리합니다. 이미 대출을 받은 담보자산이라도  추가대출이 가능한 금융상품이 있다면 기존 신용대출(A)과 기존 담보대출(B)을 신규 담보대출(C)로 한 번에 대환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규 담보대출 상담시 해당 내용을 금융사에 완전히 오픈하고 가능여부를 타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신규 담보대출액(C)=기존 신용대출액(A)+기존 담보대출액(B)
 

 

대출 대환시 주의할 점

대출 대환은 현재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는 금융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아래의 주의사항을 보고 꼼꼼히 따져본 후 대환 여부 등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이자율 비교

대출을 받을 때는 각 금융기관의 이자율을 비교하여 가장 저렴한 이자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출 대환도 마찬가지로 이전 대출과 새로운 대출의 이자율을 비교하여 더 저렴한 이자율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상환 계획 확인

대출 대환을 할 때는 상환 계획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이전 대출과 새로운 대출의 상환 기간, 상환 금액, 상환 방식 등을 자세히 비교하여 어떤 대출이 더 이익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3. 연체 및 조기 상환 위약금 확인

대출 대환 시, 이전 대출에서 발생한 연체금이나 조기 상환 위약금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미리 파악하여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4. 신용등급 유의

대출 대환을 하면서 신용등급이 하락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대출 대환을 하면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으므로, 대출 대환을 결정할 때는 신용등급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5. 대출금액 재정립

대출 대환을 할 때는 대출 금액을 재정립해야 합니다. 새로운 대출을 받을 때는 이전 대출에서 받았던 금액보다 많은 금액을 대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자신이 상환할 수 있는 금액을 미리 계산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염두에 두고 대출 대환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확실한 부분은 금융기관과 상담하여 자세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